본문 바로가기
제도

2022년 기준 중위소득

by good leaders 2022. 4. 19.
728x90
반응형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이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뜻한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를 토대로 하여 전년도 중위소득 수치에 과거 평균 증가율을 적용해 결정한다. 중위소득은 2015년 7월부터 기존의 수급자 선정 기준이었던 최저생계비를 대체해 정부의 복지정책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0년 기준 중위소득 (참고)

대체적으로 중산층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을 따르는 사례가 많다. 이에 따르면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를 중산층, 150% 초과를 상류층으로 본다. 2020년 중위소득은 월 기준으로 △1인 가구 176만 원 △2인 가구 299만 원 △3인 가구 387만 원 △4인 가구 475만 원 등이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

022년 기준 중위소득 (단위:)

가구원수 1 2 3 4 5 6 7
기준중위소득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1인 가구 176만 원  → 194만 원

△2인 가구 299만 원  → 326만 원

△3인 가구 387만 원  → 419만 원

△4인 가구 475만 원  → 512만 원

△5인 가구 563만 원  → 602만 원

△6인 가구 650만 원  → 691만 원

△7인 가구 739만 원  → 778만 원

728x90
반응형

댓글